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YOLOv5
- python
- map
- ORDER BY
- 슬라이싱
- 단어 공부
- 설계
- date_format
- pcce 기출문제
- 파이썬
- css
- 아이엠어바텐더
- GIT
- 백준
- count
- 파이썬 몫
- 코딩테스트 연습
- 프로그래머스
- sql
- html
- 파이썬 슬라이싱
- Python3
- Join
- Django
- 프로젝트
- 데이터
- SQL 고득점 Kit
- where
- Len
- List Comprehension
- Today
- Total
목록Python (117)
nan + nan = 2n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Noov/btsHqdRiycM/YgL34rl2wRs0jH6xOgKSo0/img.png)
코드 입력 앞의 문제보다 훨씬 쉬운 문제이다.문제의 조건식을 잘 읽고, 조건이 어디에 들어가야할지 확인만 하고 기입만 하면 끝나는 문제이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27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38xu/btsHrqPrWTO/SyzkdkTtUfTBiAUV5d1zDk/img.png)
코드 입력디버깅하여 문제를 고치는 내용이다.디버깅 시, 오류는 다음과 같았다. 위의 코드 내용을 봤을 때 4번째 줄에서 리스트의 인덱싱을 해서 값이 같은지 확인을 하는데,저 부분이 잘못 되어 있어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변경 내역은 다음과 같다.# 기존if numbers[our_score[i]] == score_list[i]:# 변경if our_score[i] == score_list[numbers[i]-1]: numbers = 문의하려는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리스트our_score = 문의하려는 학생들이 가채점한 리스트score_list = 전체 학생들의 성적 리스트 (번호순) 이랬을 때, 기존의 문제는 numbers[our_score[i]] 는 학생들이 가채점한 점수로 학생들의 번호를 인덱싱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3AFV/btsHqMyFLIL/keYD78l6BEzK3xGUSWSN8K/img.png)
코드 입력워낙 간단한 문제기 때문에 설명은 따로 첨부하지 않는다.특정 변수에 1을 더하거나 뺄 때, north = north - 1 로 나타낼 수도 있지만,중복으로 기재하지 않고 빠르게 적으며 간단하게 표기할 수 있게 파이썬에서는상위 이미지의 형태인 north -= 1 의 형식을 지원한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29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WAnL/btsHpa13RL5/E7UhK4GwlzkcEO69PMVPf0/img.png)
코드 입력워낙 간단한 문제기 때문에 설명은 따로 첨부하지 않는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30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dOJE/btsHqJvaEZH/xzvg963WG3g2ykdFTd6ZF1/img.png)
코드 입력 따로 설명할 부분이 없는 듯 하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31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4PoO/btsHq286mmk/e0N2koiAwNWNKMwbKgxVt0/img.png)
코드 입력 X의 y승을 나타낼 때, Python에서는 **으로 나타낸다.기존에는 b의 square(제곱)이 c - a로 잘못 기재되어 있었다.즉, c의 제곱 - a의 제곱 형태로 나타내야 하는데, ** 표기법을 이용해 나타내주면 된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32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R2Wi/btsHpJwdzlA/FiQKuvS2VcaOcrr2Qr9j6k/img.png)
코드 입력 워낙 간단한 문제기 때문에 설명은 따로 첨부하지 않는다.string 연산의 경우, 310이 되기 위해서는, 10 앞에 위치할 문자열 3을 더해주어야 310이 된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33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8Hfv/btsFb9XOMIo/mwAD4O7g7PPwrqXE3BN78K/img.png)
코드 입력 # 학점을 반환할 딕셔너리 생성 dict_grade = { "A+": 4.5, "A0": 4.0, "B+": 3.5, "B0": 3.0, "C+": 2.5, "C0": 2.0, "D+": 1.5, "D0": 1.0, "F": 0 } total_score = 0 # 학점 * 등급 (총 평점) total_point = 0 # 총 이수학점 for _ in range(20): # 과목, 학점, 등급을 string으로 받음 subject, point, grade = map(str, input().split()) point = float(point) # 학점은 따로 float 처리 # Pass는 학점 계산 제외 if grade == 'P': continue else: total_score += dict_..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kmCD/btsFbugTEfm/M3mMdAmkPJkzCZVng0jCkK/img.png)
코드 입력 word = input() # 알파벳 정보를 담을 dictionary alpha_dict = {} while True: # 단어의 가장 첫 음절 alpha = word[0] # 음절 대문자와 소문자 개수 파악 cnt = word.count(alpha.upper()) + word.count(alpha.lower()) # 딕셔너리에 삽입 alpha_dict[alpha.upper()] = cnt # 해당 음절 대문자 및 소문자 제거 word = word.replace(alpha.upper(), '').replace(alpha.lower(), '') # 단어 길이가 1 미만일때까지 반복 if len(word) > 1: continue else: break # 딕셔너리의 값 중 가장 큰 값 max_v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3Nr5/btsFeSHhXRx/P7oAZ5XDDBqKIxkjbwYm0K/img.png)
코드 입력 word = input() # 단어 길이가 짝수일 경우 if (len(word)%2)==0: # 중간 두 문자 중 첫째 문자 인덱스 (ex. abcd -> b) std = len(word) // 2 # 앞 문자열 (ab) start_ = word[0:std] # 뒤 문자열 (cd) end_ = word[std:] # 앞 문자열과 뒷 문자열의 역순이 일치하면 1, 아니면 0 if start_ == end_[::-1]: print(1) else: print(0) # 단어 길이가 홀수일 경우 else: # 중간 문자의 인덱스 (ex. abcde -> c) std = len(word) // 2 # 앞 문자열 (ab) start_ = word[0:std] # 뒤 문자열 (cd) end_ =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