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ate_format
- Django
- 코딩테스트 연습
- 프로젝트
- 데이터
- 프로그래머스
- css
- SQL 고득점 Kit
- sql
- 설계
- List Comprehension
- map
- 파이썬 몫
- ORDER BY
- pcce 기출문제
- 아이엠어바텐더
- 백준
- 슬라이싱
- html
- 파이썬
- YOLOv5
- python
- 파이썬 슬라이싱
- count
- 단어 공부
- Join
- Python3
- GIT
- Len
- where
- Today
- Total
목록★ (182)
nan + nan = 2nan
1. 데이터와 정보의 차이 데이터 : 정보 작성을 위해 필요한 자료. 특정 목적으로 분류되거나 평가되지 않은 미가공된 사실들의 집합 정보 : 데이터의 추출, 분석, 비교 등 처리절차를 통해 가공된 형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의미 부여한 데이터 지식 : 정보에 가치를 부여하여 일반화한 것. 보통 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본인의 지식으로 함양한다. 지혜 : 습득된 지식이 누적되고 경험을 통해 내재화되어 실행하여 그 상황에 문제를 해결하는 정신력 즉, 데이터와 정보의 차이는 가공 및 평가의 유무에 따른다. 데이터를 가공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면 정보가 된다. 지식은 정보를 가치화하여 본인이 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얻는 것이며, 이러한 지식들을 실행하여 어떤 상황에 문제를 해결하는 정신력을 ..

아이엠어바텐더 139기 최규영 강사님의 월,수반 저녁 타임 수강 후기입니다. 총 커리큘럼은 4주차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기 1시간 수업 진행 후 남은 시간 대략 1시간 반동안 실습을 진행합니다. 필기 수업의 경우, 평소 멋모르고 위장에 때려박던 술들의 역사나 만드는 방식, 종류 등을 배우는데 퇴근 후 진행하는 수업임에도 지루하지 않게 잘 가르쳐주십니다. 덕분에 술자리에서 조금이라도 아는 척할 수 있는 팁들을 잘 배워갈 수 있었습니다. 실습의 경우, 2~3명으로 조를 나누어 하루 3시간 수업 기준 7~8잔의 칵테일을 만듭니다. 2잔 내지 4잔의 칵테일을 만들면서 레시피를 미리 학습해보고, 칵테일을 만드는 단계 별로 하지 말아야 될 동작, Tip 등을 강사님이 돌아다니시면서 피드백을 해주실 뿐만 아니라 조원..
결과는 79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짧았지만, 좋았던 취미였는데 아이엠어바텐더 카페에 남긴 후기를 가져와 다시 작성해보았습니다. 12월 경, 아이엠어바텐더 조주기능사 수업 수강했고 마지막 수업으로부터 대략 3~4개월 이후에 시험을 치르게 되었습니다. 보충 수업은 시험 보는 주인 월,화,목 3번 신청해서 테스트 했습니다. 보충 수업 첫 날엔 오랜만에 다시 하는거기도 하고, 전통주 쪽은 레시피도 제대로 암기가 되지 않은 상태인터라 잔실수가 좀 있었던 것 같습니다. 2회차, 3회차 수업 때는 레시피는 어느 정도 암기가 됐고, 가끔 잔 칠링을 안 하거나, 콜린스 글라스에 나가는 칵테일에 얼음을 버리고 내용물을 따라서 서빙하는 실수 등 잔 실수 외에는 크게 실수 했던 부분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 테스트 때,..

네이버 지도 내 장소 가져오기 우선적으로 네이버 지도에 있는 내 장소 데이터를 가볍게 가져오는 것을 구현해봤다. 라이브러리는 Selenium, pymysql을 사용했다. 구글링을 해본 결과, 해당 url에서 내 장소에 대한 정보를 json 형태로 얻을 수 있었다. https://map.naver.com/v5/api/bookmark/sync 해당 url에 접근하기 전, 로그인을 한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login을 수행한 후 해당 url로 이동하여 정보를 가져오는 방식이다. git에 코드를 올리려면 일단 Naver 계정 정보와 같은 부분은 올리면 안 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는 secret.json으로 관리한다. git에 업로드 하지 않도록 .gitignore에 해당 경로를 추가하고, secret의 데이터..
오랜만에 글을 끄적이는 것 같다. 이전부터 하고 싶었던 사이드 프로젝트였던 Foodlog를 시작하기로 했다. 간간이 술집이나 음식점을 방문하면 네이버 지도에 라벨링을 해왔는데, 이걸 활용한 웹앱 서비스를 구현하고 싶었다. 이전에 배웠던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내가 어떤 장소에 방문하고 서비스를 구동했을 때, 내가 방문했던 장소들의 카테고리, 별점 등 취향을 분석해서 주변 장소 중 최적의 장소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구현해보고 싶었다. 내가 저장한 장소들은 sqlite를 활용해 Database에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가져와서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기획했다. 우선은 MVP(Minimal Viable Product). 즉 최소 기능 단위의 제품을 만들고 살을 덧붙이는 식으로 만들어보려고 한다. 필요 조건 ..
평균 (Average)평균이란, 전체의 합을 해당 수의 개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2, 3, 4, 5, 6] 의 평균을 구한다면 (1+2+3+4+5+6)/6 = 3.5이다. 중위수 (Median)중위수의 경우, 전체 수를 나열했을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한 값을 의미한다. 전체 수의 개수가 짝수일 경우, 가운데에 위치한 2개의 수를 더한 후 2로 나눈 수가 중위수이다. 반대로 홀수일 경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장 가운데에 위치한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2, 3, 4, 5, 6]는 짝수 개(6개)로, 중위수는 가운데 두 수를 합하고 2로 나눈 3+4/2 = 3.5가 된다. 반대로 [1, 2, 3, 4, 5]의 중위수는 가장 가운데 위치한 3이 될 것이다. Result 평균..

Docker란? Docker를 설치하기 전, Docker가 무엇인지와 이것을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내용부터 정의를 하고 넘어가자. Docker를 접하게 된 이유는 리눅스 서버를 윈도우에서도 쉽게 돌릴 수 있는 환경이 필요했다. 업무 상 리눅스 서버에서 돌릴 배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는데 내 개발 환경은 윈도우였다. VMware나 다른 가상 머신들을 이용하면 되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들을 써보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컸다. 그리고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보다 비교적 오버헤드, 쉽게 말해 품이 덜 들어가서 그런 것도 있는데 이는 다음에 자세히 소개를 하겠다. 삼천포로 빠져버렸지만, Docker는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환경을 구축, 테스트, 배포할 수 있게 ..
가상 환경이란? 가상 환경은 독립된 공간을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파이썬을 사용해보면, pip로 설치하는 라이브러리들이 보통 site-packages 폴더 안에 저장이 되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기본 pip로 설치한 패키지는 모든 파이썬 스크립트에서 사용이 가능한데, 여러 프로젝트를 개발할 경우에는 프로젝트 별로 패키지를 관리할 필요성이 생긴다. 예를 들어, 특정 파이썬 버전에 맞는 특정 라이브러리의 버전들이 존재하는데 다른 프로젝트에도 해당 패키지를 적용하게 된다면 호환성 문제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심히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젝트 별로 가상 환경을 달리하여 패키지를 관리한다면 호환성에 대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기에 이러한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

코드 입력 num = int(input()) a = 1 cnt = 1 while num > a: a += 6 * cnt cnt +=1 print(cnt) 생각보다 많이 헤멘 문제다. 문제를 처음 받고, 수열에 관한 문제인데 패턴이 있겠다 싶어 패턴을 분석했다. 공비가 6씩 커지는 공비수열의 형태가 나타나는게 아닌가 싶었다. 첫째항은 1이고, 전 항과 공비를 더하는 형태의 수식같았다. 공비수열의 형태가 나타나는 걸 보았을 때, 공비수열 등식을 이용해서 푸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에 수식 짜는데 꽂혀서 시간을 많이 허비했다. 결국에는 실패였다. 수식을 짰는데, input을 넣었을 때 output이 나와야 되는데 반대로 output을 넣었을 때 input이 나오는 시스템이었다. 그래서 거꾸로 식을 세워보려고 하니..

코드 입력 fc, vc, p = map(int, input().split()) def get_BEP(fc=fc, vc=vc, p=p): if p-vc == 0: return -1 q = fc / (p-vc) if q > 0: return int(q) + 1 else: return -1 print(get_BEP()) 손익 분기점 문제가 나와서 쉬울 줄 알았지만, 이상한데서 헤메고 말았다. 나름 금융과라고, 금방 뚝딱 풀줄 알았는데 그 놈의 시간초과 때문에 다른 로직을 생각해야했다. 처음에는 앞서 푼 문제처럼 if 문으로 예외처리하면서 하나씩 맞는지 테스트하는 로직이었는데, 시간초과 오류가 계속 발생했다. 그래서 한 번에 답을 알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을 해서, 과거에 회계나 경제 과목 들을 때 썼던 ..